
중소벤처 기업부에서 운영하는 '혁신바우처 사업'에 대해 알고계시나요?!
중소기업에 있어서 맞춤형 지원을 통하여 더 큰 성장과 성공을 이룰 수 있는 정말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이 듭니다
Q. 혁신바우처 지원사업이란? ▶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행기관이 제공하는 분야별 서비스(컨설팅, 기술지원)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형태로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
Q. 바우처란? ▶ 메뉴판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포인트(정부지원금 + 기업분담금) 공급처가 제공하는 서비스 교환제도 입니다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023년 2차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세부사업별 지원대상 및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
1. 녹색기술 혁신 바우처 ▷ 지원 대상 : 평균(3년)매출액 12억 이하의 소기업이며 주업종이 제조업인 기업 중 그린분야 영위 또는 기술 사업화 기업 ▷세부지원 프로그램 구분 | 서비스프로그램 | 서비스 지원내용 | 한도 (백만원) | 컨설팅 (5개) | 경영기술전략 | 생산관리, 품질관리, 기술사업화 전략, 노무, 인사, 조직, 세무, 재무, 회계, 경영전략, 구조개선, 영업전략 | 15 | 스마트공장 추진전략 | 스마트공장 진단 및 실용화, 활성화, 고도화를 위한 전략 수립 | 15 | 안전보건 및 규제대응 | 산업안전(위험성평가, 공정안전관리, 근로자건강장해 예방 등) 노동법 대응(최저임금제, 근로시간 대응 등) - 화학물질 관리 대응 등 지적재산권 분쟁 대응(분쟁IP분석, 대상IP무효화, 분쟁 공동대응 등) | 15 | 융복합 | 적합도 분석, 협업계획서 작성 및 협업 승인 지원 등 | 20 | ESG컨설팅 | 수준진단 및 평가, 공급망 실사 컨설팅, ESG 관련 인증 등 | 20 | 기술 지원 (4개) | 시제품 제작 | 디자인 목업, 제품 형상 구현(샘플금형, 비금형, 정밀 미세가공, 섬유, 식품), 시제품 설계(회로, CAD) 등 | 30 | 시스템 및 시설구축 | 생산관리 정보화, 기술유출방지 시스템, 연구시설, 스마트공장 구축, 공정설계(생산공정, 생산라인) 등 | 20 | 기술이전 및 지재권 획득 | 기술이전에 필요한 기술료 지원, 지식재산권 획득(특허출원, 상표출원, 국외출원, 실용신안출원, 디자인 출원) 등 | 15 | 제품 시험 및 인증 | - 하드웨어(성능, 안전성, 신뢰성, 조달품 적합, 유해물질 분석, 자가품질검사), 소프트웨어(보안해킹, 웹/앱) 제품 또는 품질 관련 국내인증 취득 등 | 15 |
2. 지역단위 자율형 바우처 ▷지원대상 : 평균(3년)매출액 120억 이하의 소기업이며 주업종이 제조업인 기업 중 지역별 지방중소벤처기업청 개별공고 상 모집요건에 해당하는 기업 ▷ 세부지원 프로그램 구분 | 서비스프로그램 | 서비스 지원내용 | 한도 (백만원) | 컨설팅 (5개) | 경영기술전략 | 생산관리, 품질관리, 기술사업화 전략, 노무, 인사, 조직, 세무, 재무, 회계, 경영전략, 구조개선, 영업전략 | 15 | 스마트공장 추진전략 | 스마트공장 진단 및 실용화, 활성화, 고도화를 위한 전략 수립 | 15 | 안전보건 및 규제대응 | 산업안전(위험성평가, 공정안전관리, 근로자건강장해 예방 등) 노동법 대응(최저임금제, 근로시간 대응 등) - 화학물질 관리 대응 등 지적재산권 분쟁 대응(분쟁IP분석, 대상IP무효화, 분쟁 공동대응 등) | 15 | 융복합 | 적합도 분석, 협업계획서 작성 및 협업 승인 지원 등 | 20 | ESG컨설팅 | 수준진단 및 평가, 공급망 실사 컨설팅, ESG 관련 인증 등 | 20 | 기술 지원 (4개) | 시제품 제작 | 디자인 목업, 제품 형상 구현(샘플금형, 비금형, 정밀 미세가공, 섬유, 식품), 시제품 설계(회로, CAD) 등 | 30 | 시스템 및 시설구축 | 생산관리 정보화, 기술유출방지 시스템, 연구시설, 스마트공장 구축, 공정설계(생산공정, 생산라인) 등 | 20 | 기술이전 및 지재권 획득 | 기술이전에 필요한 기술료 지원, 지식재산권 획득(특허출원, 상표출원, 국외출원, 실용신안출원, 디자인 출원) 등 | 15 | 제품 시험 및 인증 | - 하드웨어(성능, 안전성, 신뢰성, 조달품 적합, 유해물질 분석, 자가품질검사), 소프트웨어(보안해킹, 웹/앱) 제품 또는 품질 관련 국내인증 취득 등 | 15 |
주무부처 :중소벤처기업부 ㅣ 공급기관 : 이엠솔루션
※문의사항※ 신민우 부장 ㅣ 010-4734-7530 ㅣ mwshin@em-s.co.kr
|